최근 금 가격이 상승하면서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도 금 ETF를 통해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어 많은 투자자가 주목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국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표적인 금 ETF 3종을 소개하고, 각 상품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1. KODEX 골드선물(H) – 삼성자산운용
KODEX 골드선물(H)은 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국내 대표적인 금 ETF 중 하나입니다. 이 상품은 미국 COMEX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환 헤지가 적용되어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특징 및 장점
- COMEX 금 선물 가격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금 시세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
- 환 헤지(H) 기능으로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 감소
- 운용 보수가 비교적 낮아 장기 투자에 적합
▷ 단점
- 실물 금이 아닌 선물 가격을 추종하기 때문에 롤오버 비용 발생 가능
- 금 현물 가격과 약간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음
KODEX 골드선물(H)은 비교적 안정적인 금 투자 수단으로, 환율 변동을 걱정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2. TIGER 골드선물(H) – 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출시한 TIGER 골드선물(H) ETF는 KODEX 골드선물(H)과 마찬가지로 COMEX 금 선물 가격을 추종하며, 환 헤지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상품 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 특징 및 장점
- COMEX 금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금 시세를 반영
- 환 헤지 기능으로 환율 변동 영향을 최소화
- 거래량이 비교적 많아 유동성이 우수함
▷ 단점
- 선물 기반 상품으로 롤오버 비용 발생 가능
- 금 현물 투자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TIGER 골드선물(H)은 안정적인 금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며, 유동성이 높아 매매가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3. KRX 금현물 ETF – 한국거래소
KRX 금현물 ETF는 다른 금 ETF와 달리 금 선물이 아닌 실제 금 현물을 기반으로 운용됩니다. 즉, 이 상품을 매수하면 실물 금 가격에 직접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특징 및 장점
-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금 현물 기반 ETF
- 선물 상품과 달리 롤오버 비용이 없음
- 실물 금과 1:1 매칭되어 가격 괴리 가능성이 낮음
▷ 단점
- 환 헤지 기능이 없어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유동성이 낮을 수 있음
KRX 금현물 ETF는 실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실물 금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국내 상장된 대표적인 금 ETF 3종을 살펴보았습니다. KODEX 골드선물(H)과 TIGER 골드선물(H)은 금 선물을 기반으로 하며 환 헤지 기능이 있는 반면, KRX 금현물 ETF는 실물 금을 기반으로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ETF 선택 가이드
- 환율 변동 리스크를 줄이고 싶다면? → KODEX 골드선물(H) / TIGER 골드선물(H)
- 실물 금과 연동되는 ETF를 원한다면? → KRX 금현물 ETF
- 유동성이 높은 ETF를 원한다면? → TIGER 골드선물(H)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ETF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금 투자를 진행해 보세요!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자를 위한 자동차 리스(법인 자동차 리스), 세금 혜택까지! (2) | 2025.02.17 |
---|---|
자동차 리스, 장점과 단점 (2) | 2025.02.17 |
ETF의 종류와 의미 (TR, H, 레버리지, 인버스) (0) | 2025.02.17 |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 BOA)와 월스트리트의 관계 (1) | 2025.02.15 |
코스피(KOSPI)란? (초보자를 위한 개념 정리) (1)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