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노우플레이크의 핵심 사업 구조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는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고객이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 분석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플랫폼은 Amazon Web Services(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와 호환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합니다.
스노우플레이크의 주요 수익 모델은 **사용량 기반 과금(Consumption-Based Pricing)**입니다. 고객은 데이터 저장, 컴퓨팅, 전송 등 실제 사용한 리소스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며, 이는 '스노우플레이크 크레딧(Snowflake Credits)'이라는 단위로 측정됩니다. 이러한 모델은 고객에게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게 합니다.
📊 2025년 수익 구성 및 실적 현황
2025 회계연도 기준, 스노우플레이크의 총 매출은 36억 2,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9.21%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제품(Product) 부문이 전체 매출의 **95.48%**인 34억 6,000만 달러를 차지하며 핵심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반면, 전문 서비스(Professional Services) 및 기타 부문은 1억 6,400만 달러로 전체의 4.52%를 구성합니다.
또한, 스노우플레이크는 **순매출 유지율(Net Revenue Retention Rate)**이 126%에 달하며, 이는 기존 고객의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제품 부문의 세부 수익원
스노우플레이크의 제품 부문 수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 데이터 저장(Storage): 고객이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비용이 부과됩니다.
- 컴퓨팅(Compute): 데이터 처리 및 분석에 사용되는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비용입니다.
-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공유하는 데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이러한 세부 수익원은 고객의 사용 패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동되며, 스노우플레이크의 수익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AI 및 데이터 생태계 확장 전략
스노우플레이크는 AI 통합을 통해 데이터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icrosoft와의 협업을 통해 OpenAI의 모델을 자사 플랫폼에 통합하였으며, Anthropic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노우플레이크는 **데이터 마켓플레이스(Data Marketplace)**를 운영하여 고객이 데이터를 공유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기준, 3,000개 이상의 마켓플레이스 항목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8% 증가한 수치입니다.
🧭 투자자들을 위한 고려 사항
스노우플레이크는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과 클라우드-중립적인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경쟁사의 등장과 클라우드 컴퓨팅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스노우플레이크의 AI 전략 실행력과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요약
- 수익 모델: 사용량 기반 과금(Consumption-Based Pricing)
- 2025년 총 매출: 36억 2,600만 달러
- 제품 부문 비중: 95.48%
- 순매출 유지율: 126%
- AI 전략: Microsoft 및 Anthropic과의 협업을 통한 AI 기능 강화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은행 ETF 상품 총정리: 수익률, 구성 종목, 운용사 비교 (0) | 2025.05.10 |
---|---|
은행 ETF vs 개별 은행주: 어디에 투자할까? (0) | 2025.05.09 |
원화 약세의 숨은 원인? 대만 금융시장의 변화가 미친 파장 (2) | 2025.05.06 |
1929년 대공황부터 2022년까지, 미국 증시 폭락 주기 정리 (1) | 2025.03.12 |
미국 뉴욕 증시 폭락, 코스피·코스닥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 (1) | 2025.03.12 |